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주택거래 늘자 주담대 고공행진... 은행 가계대출 6조 원↑
알림

주택거래 늘자 주담대 고공행진... 은행 가계대출 6조 원↑

입력
2024.06.12 15:00
0 0

7개월 만에 최대 폭 뛰어
전금융권 가계대출 5.4조 증가

2일 서울 시내 한 은행 앞에 대출 상품 관련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2일 서울 시내 한 은행 앞에 대출 상품 관련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두 달째 증가하며 1,110조 원에 근접했다. 늘어난 주택거래를 따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가팔라진 영향이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대비 6조 원 증가한 1,109조6,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3월 1조7,000억 원 줄었다가 4월 5조 원 증가로 돌아선 뒤 보폭을 더 넓힌 것이다. 증가 폭은 지난해 10월(+6조7,000억 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담대 잔액(870조7,000억 원)이 한 달 새 5조7,000억 원 불어난 영향이 컸다. 원지환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 거래 증가에 따른 자금 수요가 지속됐고,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은행 재원(이차보전 방식)으로 공급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월 3만9,000호, 4월 3만7,000호 늘었는데, 시차를 두고 주담대 실행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가정의 달’ 자금 수요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7조8,000억 원)도 3,000억 원 증가했다.

그럼에도 과거와 비교하면 가계대출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게 한은 판단이다. 1~5월 누적 증가 폭(14조6,000억 원)이 디레버리징(차입 축소·상환) 시기인 2022, 2023년을 제외한 직전 5년의 평균 증가 폭(24조1,200억 원)을 하회한다는 점에서다. 향후 전망에 대해 원 차장은 “주택매매 거래 증가로 주담대 실행이 이어지겠지만, 은행 가계대출이 4, 5월 대비 큰 폭의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지난달 기업대출 잔액(1,291조6,000억 원)도 6조9,000억 원 늘면서 우상향 흐름을 유지했으나, 증가 폭은 4월 11조9,000억 원보다 크게 축소됐다. 중소기업 대출은 일부 은행의 영업 강화와 시설자금 수요 확대 등으로 5조8,000억 원 불어 전월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대기업 대출은 분기말 일시 상환분 재취급과 배당금 지급 등 전월에 발생한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증가세가 대폭 둔화(+6조5,000억 원→+1조1,000억 원)했다.

제2금융권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5조4,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담대가 5조6,000억 원 늘고, 기타대출이 2,000억 원 감소에 그치면서 전월(+4조1,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은행권을 뺀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7,000억 원 줄었지만, 전월(-1조 원)에 비해 감소세가 둔화했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한은,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주요 시중은행과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었다.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하반기 통화정책 기조 전환에 대한 기대감 속 정책모기지 요건 완화, 부동산 거래 회복과 세제 개편 논의가 맞물려 하반기에는 더욱 세심한 가계부채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유빈 기자
곽주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