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더 가까워진 김정은·푸틴… 미국 "북러 협력 심화, 크게 우려할 추세" [북러정상회담]
알림

더 가까워진 김정은·푸틴… 미국 "북러 협력 심화, 크게 우려할 추세" [북러정상회담]

입력
2024.06.20 07:50
수정
2024.06.20 14:01
0 0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체결
북 "동맹" 러 "침략당하면 상호 지원"
미국 "푸틴에 전쟁 플랫폼 제공 안 돼"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북한 평양 정상회담 후 국빈 리셉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북한 평양 정상회담 후 국빈 리셉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19일(현지 시간) "북러 협력 심화는 크게 우려할 추세"라며 경계심을 표했다. 앞서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데 따른 반응이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러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본보 논평 요청에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 심화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세계적인 비확산 체제를 지지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러시아의 잔혹한 침략에 맞서 우크라이나 국민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크게 우려할 추세"라고 밝혔다.

이어 "앞서 말했듯 우리는 어떤 나라도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러시아는 노골적으로 유엔 헌장을 위반하고 있으며, 국제 시스템을 훼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입장은 앞서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이 전날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과 동일하다. 아직 협정의 구체적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새로운 평가를 내놓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 국무부는 북한에 관해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타격하는 데 사용한 탄도미사일 등 무기 및 관련 물자를 북한이 (러시아에) 이전하고 러시아가 조달한 것은 구속력 있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꼬집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한동안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협력 심화에 대해 경고해왔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와 인도·태평양의 동맹국들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며 원론적 입장을 냈다. 미국 국방부 당국자는 "우리는 보도를 봤고, 그 상황을 계속 모니터할 것"이라면서 "현재로선 그 이상 밝힐 것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북러 협정의 구체적 내용이 공개되지 않은 터라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김 위원장은 협정 체결 후 양국이 "동맹관계"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동맹' 표현을 쓰지 않고 "침략당할 시 상호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나연 기자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